지산.범물택지지구와 두산동 등 기존시가지의 하수를 처리하여 신천 상류 용두보로 처리수를
방류하여 하천 유지용수로 사용 하고 있다. 하수처리시설을 지하화하고 하수처리장 상부에는
잔디광장, 산책로,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농구장 등 주민편익시설을 설치하여 친화공간으로
조성하고 주변의 수성유원지와 조화롭게 조성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서부사업소는 대구 서·남·달서구·달성군 화원·다사지역에서 유입되는 하수 및 위생처리장의
분뇨등을 통합처리하여 대명천을 거쳐 낙동강으로 방류하며, 기타시설로는 하수관거내 퇴적된
토사에 부착된 모래와 유기물을 처리하는 준설물 중간처리시설과 강우시 배출되는
대명천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응집·침전처리시설을 운영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서대로 210 (대천동) 대표번호 053-605-8210 팩스번호 053-605-8209
신천사업소는 중·동·남·북·수성구 및 가창지역의 하수를 처리하여
금호강으로 방류하는 대구에서 가장 규모가 큰 하수처리장으로 음식물 쓰레기 병합 처리장과
슬러지 고화 처리장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1일 10만㎥의 처리수를 신천 상동교까지
이송하여 방류함으로써 신천의 건천화를 방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운용 중에 있습니다.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조야로2길 209 (서변동) 대표번호 053-605-8106 팩스번호 053-943-9039
달서천사업소는 하수처리장, 위생처리장 및 침출수 전처리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수처리장은 대구 발전의 근간이 되었던 3공단과 염색공단, 서대구공단에서 유입되는
오염도가 높은 폐수 및 생활하수를 혼합처리합니다. 위생처리장은 분뇨의 협잡물을 제거한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고 있으며, 침출수 전처리시설은 방천리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를 전처리한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함으로서 연계처리되고 있습니다.
주소 대구광역시 서구 염색공단로 130 (비산동) 대표번호 053-605-8305 팩스번호 053-352-5490
우리가 마시는 물을 공급하여 주는 낙동강과 금호강은 대구시민 모두의 귀중한 생명의
젓줄이자 삶을 지탱하여 주는 근원이며, 우리 환경공단에서는 하천오염을 막고
깨끗한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달서천, 북부, 신천, 서부, 달성 하수처리장에서
다시 맑고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습니다.
대구전역에서 발생한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완전 소각처리하고 소각처리시 발생되는 열은
지역난방공사를 통하여 인근지역에 저렴하게 공급합니다. 연속연소식 스토카(계단식 화격자)
화격자 위에 쓰레기를 연속 투입하여 건조, 연소, 후연소화격자를 통하여 다량의 쓰레기를
완전연소하고 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소각방식입니다.
음식물쓰레기를 재활용하는 방안으로 2001년 7월부터 전아파트 33만세대 에서
1일 210톤을 수거하여 인근 10개 민간처리시설에서 퇴비 · 사료로 재활용 하고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전용차량 68대, 용기 23,700개를 보급하는 등 35억원을 지원하여
음식물쓰레기 분리수거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고체 폐기물이 물리적·화학적 작용을 일으키면서 액체 상태로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말한다.
폐기물 안에 있는 유기물질의 함량이나 폐기물의 분해 정도, 중금속류의 함량, 매립한 뒤
지나간 기간, 수분 함량, 온도, 다짐 정도, 매립지의 형태, 토양의 성질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성질과 형태를 나타낸다. 침출수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질소는 오랫동안 배출되므로
주변 수역을 부영양화시킬 수 있다.
대구시는 도시의 대부분이 하수처리구역으로서 오수 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법률에
따라 분류식하수관거 설치구역에는 오수처리시설 및 단독정화조의 설치 의무가 면제되며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역에는 오수처리시설이 면제되고 단독 정화조를 설치한다.
오수처리시설은 그간 감소되어 오다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단독정화조도 해마다 증가되고 있습니다.